728x90
반응형
1. 바울이 로마 황제에게 상소하다. 행 25:1-12
〈행 25:1-12, 쉬운성경〉 “<로마 황제에게 상소함> 베스도는 총독으로 부임한 지 삼 일 뒤에 가이사랴를 떠나 예루살렘으로 올라갔습니다. (2) 대제사장들과 유대인 지도자들이 베스도 앞에 나타나 그에게 바울을 고소했습니다. (3) 그들은 베스도에게 환심을 사 가며 바울을 다시 예루살렘으로 보내 달라고 간청했습니다. 그들은 길에 사람들을 매복시켰다가 바울을 죽일 계획이었습니다. (4) 그러나 베스도는, 바울은 가이사랴에 갇혀 있고 자신도 곧 그리로 돌아갈 것이므로, (5) “그 사람이 정말로 잘못된 행동을 했다면, 여러분들 중에서 몇 사람이 나와 함께 가이사랴로 가서 그 곳에서 그를 고발하시오”라고 대답했습니다. (6) 베스도가 예루살렘에 팔 일인가 십 일인가를 더 머물다가 가이사랴로 돌아갔습니다. 이튿날, 그는 재판석에 앉아서 바울을 데려오라고 명령했습니다. (7) 바울이 나타나자, 예루살렘에서 온 유대인들이 그를 에워싸고 여러 가지 무거운 죄목을 대며 바울을 고발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 죄를 입증할 만한 증거는 아무도 제시하지 못했습니다. (8) 바울은 이렇게 자신을 변명했습니다. “나는 유대인의 율법이나 성전이나 로마 황제를 거스르는 죄를 지은 적이 없었습니다.” (9) 그러나 베스도가 유대인의 환심을 사려고 바울에게 물었습니다. “그대는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이 여러 가지 고소 문제에 대해 내 앞에서 재판 받기를 원하는가?” (10) 바울이 말했습니다. “나는 지금 황제의 법정에 서 있습니다. 나는 이 곳에서 재판을 받아야 합니다. 각하께서도 잘 아시듯 나는 유대인들에게 어떤 죄도 짓지 않았습니다. (11) 혹 내게 잘못한 일이 있어 법에 따라 사형을 당해야 한다면, 죽음을 피할 생각은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이 고발한 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면, 어느 누구도 나를 이들에게 넘겨 줄 수 없습니다. 나는 로마 황제 에게 상소하겠습니다.” (12) 베스도는 이 문제를 두고 배심원들과 상의한 뒤에 “그대가 황제에게 상소했으니, 황제에게 가게 될 것이오”라고 선포했습니다.” |
- 새로 부임한 총독 베스도는 유대 지도자들과 여러 현안들을 논의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갔다.
- 그런데 유대지도자들은 가이사랴에 갇혀있는 바울을 다시 예루살렘으로 보내달라고 간청했다. 예루살람으로 오는길에 바울을 죽이려했기 때문이다.
- 베스도는 거절하였고, 바울을 고소할 사실이 있으면 가이사랴에서 고소하라고 했다.
- 유대인들은 가이사랴로 올라와 다시 바울을 고소했다. 기존의 유대사회 질서를 어지럽히고 로마에 반역을 도모한다는 죄목이었다.
- 하지만 유대인들은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못했다.
- 바울은 로마시민이었다. 로마시민의 권한을 이용해 로마 가이사 황제에게 직접 상소하겠다고 하였다.
- 문헌에 따르면 로마황제에게 직접 상소하는것은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시킬때만 가능하다. 1.로마시민만 가능하고 2. 목숨이 달린 중대사건이어야 하고 3. 로마 황제 상소는 지방 총독의 1차 재판이 이루어진 다음에야 가능했고 4.지방 총독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5.여행경비는 자비부담이다.
- 바울이 로마로 가고자 했던 이유는 로마에서 그리스도 복음을 전파하는것이 오랜 열망이자 목표였기 때문이다.
2. 베스도 총독이 아그립바 왕 앞에 바울을 세우다 행 25:13-27
〈행 25:13-27, 쉬운성경〉 “<아그립바 왕 앞에 선 바울> 며칠이 지난 뒤, 유대의 아그립바 왕과 버니게가 베스도에게 환영 인사를 하기 위해 가이사랴로 왔습니다. (14) 그들이 가이사랴에서 여러 날을 머물게 되어 베스도는 아그립바 왕과 바울 사건을 논의하였습니다. 베스도가 말했습니다. “이 곳에 벨릭스가 옥에 가두어 둔 사람이 한 사람 있습니다. (15) 내가 예루살렘에 갔더니,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이 그 사람을 고소하면서 그에게 유죄 판결을 내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16) 그러나 나는, 어떤 사람이 고소를 당했을 때, 그 사람을 고소한 사람과 마주하게 해서 고소한 것에 대해 변명할 기회를 주지 않고 그들에게 넘겨 주는 것은 로마의 관습에 어긋난다고 말해 주었습니다. (17) 그래서 유대인들이 나를 따라 이 곳 가이사랴로 왔습니다. 나는 시간을 끌지 않고 그 이튿날, 재판을 소집하고 재판석에 앉아서 그 사람을 불러오게 했습니다. (18) 유대인들이 일어나 그를 고발하며 죄목을 늘어놓았지만, 내가 예상했던 것만큼 악한 죄는 없었습니다. (19) 그들이 바울과 논쟁을 한 것은 간단히 말해서, 그들의 종교에 관한 것과 예수라는 어떤 죽은 자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바울은 그 자가 살아 있다고 주장합니다. (20) 나는 이와 같은 문제를 어떻게 조사해야 할지 몰라 망설이다가, 바울에게 예루살렘으로 가서 이 문제에 대해 재판 받기를 원하느냐고 물어 보았습니다. (21) 그러나 바울이 황제에게 판결을 받을 때까지 그대로 갇혀 있겠다고 해서 나는 바울을 로마에 계신 황제에게 보낼 때까지 그를 가두어 두라고 명령했습니다.” (22) 그러자 아그립바가 베스도에게 “나도 그 사람의 말을 듣고 싶소”라고 말했습니다. 베스도는 “내일 그의 말을 들을 수 있게 하겠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23) 이튿날, 아그립바와 버니게는 화려한 행렬을 갖추고 군대 지휘관들과 그 도시의 유지들과 함께 재판정에 나타났습니다. 베스도가 명령하자, 바울이 끌려나왔습니다. (24) 그 때, 베스도가 말했습니다. “아그립바 왕 전하, 그리고 이 자리에 함께하신 여러분, 이 사람을 보십시오. 이 사람은 이 곳과 예루살렘에 있는 모든 유대인들이 살려 두어서는 안 된다고 소리치면서 나에게 고소한 사람입니다. (25) 그러나 내가 판단하기에 그는 죽임을 당할 만한 죄를 범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그가 황제에게 상소하였으므로 그를 로마로 보내기로 결정했습니다. (26) 하지만 이 사람에 관해서 황제께 써 보낼 만한 자료가 내게는 없습니다. 그래서 이 사람을 여러분 앞에, 특별히 아그립바 왕 앞에 불러 낸 것입니다. 나는 여러분이 이 사람을 심문하면 황제께 보고할 자료가 생기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27) 황제께 죄수를 보내면서 그 죄목이 무엇인지 알리지 않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 유대 아그립바 왕이 자신의 누이 버니게와 함께 새로 부임한 유대총독 베스도에게 인사를 하려고 가이사랴에 내려왔다. 누이 버니게는 오빠 아그립바 왕과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소문이 있다. 문헌에 따르면 추문으로 가득 찬 음란한 여자로 알려져 있다.
- 헤롯 아그립바 2세 (주후 53-70년) : 야고보를 처형한 아그립바 1세의 아들(행 12:1), 메시아 탄생을 저지하려고 유아학살 사건을 저지한 헤롯대왕의 손자 (마 2:3), 철저하게 친로마적 인물로 로마황제 네로(주후 54년-68년)의 신임을 얻어 통치하고 있었다.
- 베스도 총독은 헤롯 아그립바 2세에게 전임 벨릭스 총독에게 바울이라는 죄수를 인계받았는데 마땅한 죄목을 찾지 못해 황제에게 상소하기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한다.
- 아그립바왕은 예수의 도를 전하는 바울이라는 사람에 호기심이 생겨 바울을 만나보길 원했다.
- 그래서 바울은 다시 아그립바왕과 베스도총독이 있는 재판정으로 끌려나왔다.
- 네로 황제 : (주후 54-68년) : 아우구스투스로 부터 시작된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마지막 왕으로 16세에 황제가되어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다가 차츰 유능한 인재를 살해하고 기독교를 학살하는 공포정치를 자행하였다. 로마시의 화재, 군부의 반란 등으로 폐위되어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B%A1%9C
네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네로(Nero)는 로마 제국의 제5대 황제(37년 12월 15일 ~ 68년 6월 9일, 재위 54년 10월 13일 ~ 68년 6월 9일)이자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다. 본래 이
ko.wikipedia.org
728x90
반응형
'성경통독 - 신약 > 사도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행전 읽기 28장 : 로마에 도착한 바울과 로마에서의 사역 (0) | 2022.11.27 |
---|---|
사도행전 통독 읽기 24장 : 총독 벨릭스 앞에서 (0) | 2022.11.21 |
사도행전 읽기 23장 : 가이사랴로 호송되는 바울 (0) | 2022.11.19 |
사도행전 22장 : 바울의 변론 (1) | 2022.11.18 |
바울의 전도 여행 지도 총정리 : 제1차 제2차 제3차 전도여행 (0) | 2022.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