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믿음의 형제들 간에 관습법 문제로 서로 비난하지 말라. 롬 14:1-12
〈롬 14:1-12, 쉬운말〉 “믿음이 약한 사람이라도 그냥 받아들이고, 그들의 생각을 시빗거리로 삼지 않도록 하십시오. (2) 어떤 사람들은 무엇이든지 다 먹을 수 있는 믿음을 가졌지만, 믿음이 연약한 사람들은 단지 채소만 먹을 수 있습니다. (3) 이때 무엇이든 다 먹는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을 업신여기지 말아야 하고, 모든 것을 다 먹지 못하는 사람은 무엇이든 먹는 사람을 비난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그런 사람도 다 받아들이셨기 때문입니다. (4) 여러분이 누구이기에 다른 사람의 종을 이렇다, 저렇다 판단할 수 있는 것입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그 종이 서 있든 넘어지든, 그것은 그의 주인의 문제입니다. 주께서 그를 서 있게 하신다면, 그는 서 있게 될 것입니다. (5) ○ 또 어떤 이들은 특별한 날을 정하여 그 날을 더 중요하게 기리지만, 다른 이들은 어느 날이나 다 똑같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문제는, 각자가 마음에 정한 대로 결정할 일입니다. (6) 특정한 날을 존중하는 사람도 주님을 위해 그렇게 합니다. 고기를 먹는 사람도 주님을 위해, 주님께 감사하면서 먹습니다. 음식을 가리는 사람도 또한 주님께 감사를 드리면서 그렇게 가립니다. (7) 우리 가운데 어느 누구도 자신만을 위하여 사는 사람도 없고, 자신만을 위하여 죽는 사람도 없습니다. (8) 우리는 살아도 주님을 위해 살고, 죽어도 주님을 위해 죽습니다. 이처럼 살든지 죽든지, 우리는 온전히 주님의 것입니다. (9) 바로 이런 이유로, 그리스도께서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셔서, 산 자와 죽은 자 모두에게 주님이 되었습니다. (10) 그런데 여러분은 어찌하여 여러분의 형제들을 비난합니까? 왜 여러분의 형제를 업신여깁니까? 언젠가 우리 모두는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게 될 것입니다. (11) 이와 관련해서 성경에 기록되기를, “주께서 말씀하신다. ‘그 날에 모든 이들이 내 앞에 무릎을 꿇을 것이고, 모든 이들의 혀가 하나님께 자백할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12) 그렇습니다. 그때가 되면, 우리 각자는 하나님 앞에 자기 일을 낱낱이 자백해야 할 것입니다.” |
- 아디아포라 Adiaphora : 각자 신앙의 양심에 따라 정한 대로 행할 것이며 마음에 거리낌으로 하지 말 것이다. 관습법 문제는 해도 죄가 아니고 행하지 않아도 죄가 아닌 것으로 죄의 문제도 아니고 구원의 문제와 관계된 본질적 문제도 아니다.
- 당시 시대에는 율법에 정한 음식 문제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음식 자체는 관습법 문제이기 때문에 죄가 아니지만 음식을 먹고 먹지 않는 문제로 음식을 먹는 형제들은 안 먹는 형제들을 업신여겼고, 음식을 안 먹는 형제들은 음식을 먹는 형제를 비난하였다.
- 음식 자체가 죄는 아니며 . 중요한 것은 주님을 위해 살겠다는 마음과 성령 안에서 누리는 의와 기쁨과 평강이다.
- 이러한 관습 문제로 형제가 서로를 비난한다면 나중에 심판대 앞에 서게 될 것이다.
2. 관습법 문제로 믿음의 형제가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조심하라. 롬 14:13-23
〈롬 14:13-23, 쉬운말〉 “○ 그러므로 이제부터는 서로 비난하지 마십시오. 또한 형제가 걸려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형제 앞에 걸림돌이나 장애물을 놓아두지 마십시오. (14) 내가 주 예수 안에서 알고 확신하는 이것입니다. 즉, 세상의 어떤 음식도 그 자체로 부정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이 특정한 음식을 부정하게 여긴다면, 그 사람에게는 그 음식이 부정한 것입니다. (15) 여러분이 먹는 음식 문제 때문에 형제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면, 여러분은 사랑 안에서 살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먹는 음식 문제로 형제를 망하게 하지 마십시오. 그리스도께서는 그 형제를 위해서도 죽으셨습니다. (16) 그러므로 여러분이 하고 있는 일이 비록 옳은 일이라 할지라도, 그것이 도리어 다른 사람에게 비난거리가 되지 않게 하십시오. (17) 분명히 말하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먹고 마시는 문제가 아니라, 성령 안에서 누리는 의와 평강과 기쁨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18) 이렇게 그리스도를 섬기는 사람은 누구든지 하나님께 기쁨이 되고, 사람에게도 인정을 받습니다. (19) ○ 그러므로 우리는 모쪼록 서로 화목하게 지내고, 서로 덕을 세우는 일에 힘씁시다. (20) 다시 강조하지만, 음식 문제로 인해 하나님의 일을 그르치지 마십시오. 본래 모든 음식은 다 깨끗합니다. 그러나 어떤 음식을 먹음으로 해서, 그 일이 다른 사람을 걸려 넘어지게 하면, 그것은 잘못된 일입니다. (21) 형제를 걸려 넘어지게 하는 일이라면, 차라리 고기도 먹지 않고 술도 마시지 않는 편이 낫습니다. 그 일이 무엇이든, 다른 형제를 걸려 넘어지게 하는 일은 삼가 하지 말아야 합니다. (22) 이런 것들에 대해서, 여러분이 믿는 바 확신을 하나님 앞에서 고이 지켜 나가십시오. 누구든지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행하면서, 스스로를 정죄하지 않는 사람은 복이 있습니다. (23) 그러나 의심을 품고 무엇을 먹는 사람은 이미 스스로를 정죄한 것입니다. 그 까닭은, 그가 믿음에 따라 행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명심하십시오. 믿음에 따라 행하지 않은 것은 다 죄입니다.” |
-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음식 자체는 죄가 아니다. 중요한 본질은 성령 안에서 누리는 의와 평강과 기쁨의 문제다.
- 우리가 자유롭게 누리는 음식 때문에 다른 형제의 마음을 아프게 만들면 안 된다. 그것은 사랑에서 나오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 우리가 자유롭게 누리는 음식 때문에 다른 형제들이 우리를 비난하게 하는 죄를 짓게 하면 안된다.
- 음식 때문에 다른 형제를 넘어지게 한다면, 차라리 그 음식을 먹지 않는것이 낫다.
- 바울은 이렇게 음식이 죄가 되냐 안되냐가 문제가 아니냐를 떠나 '형제 우선 원칙'을 제시 했다.
- 만일 음식 먹어도 되는지 마음에 의심이 되는 상태로 먹는다면 그것은 죄가된다. 왜냐하면 믿음에 따라 행한다는 것은 이처럼 애매할 때 조금이라도 죄가 될 가능성이 있으면 안하는것이 원칙인데, 거리낌을 가지고 먹는것은 믿음을 따라 행한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그런 정죄함 없이 스스로 음식을 먹으면서도 거리낌 없이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사람은 복이 있는 사람이다. (22절)
3. 이번장에 대한 고찰과 기독교인의 술 문제
- 당시에는 고기나 제사음식을 먹는 문제가 있었고 현대 한국 기독교는 비슷한 문제로 술문제가 있다. 술은 방탕함과 직결되고 이성을 해이하게 함으로써 쉽게 죄에 빠질 수 있게 만들기 때문에 조심은 해야 하지만 술 먹는 문제 자체가 죄는 아니다. 하지만 내가 술 마시는 모습을 보고 누군가는 마음속으로 나를 비난하는 죄를 지을 것이고, 누군가는 또 그 술 먹는 모습으로 상처받는 형제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마음에 거리낌이 드는데도 마신다면 그것은 죄가 된다. 왜냐하면 형제를 사랑하는 마음에서 한 행위도 아니고 믿음으로 한 행동이 아니기 때문이다. 바울은 차라리 이런 상황이라면 안 마시겠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
'성경통독 - 신약 >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서 16장 : 여러 형제들에게 문안 인사와 마지막 당부 (1) | 2022.12.23 |
---|---|
로마서 15장 : 형제들과 함께 화목하라. 바울의 추후 계획을 밝힘 (1) | 2022.12.23 |
로마서 13장 선택 받은 성도들은 국가권력에 순종해야 하며 이웃을 사랑 해야한다. (0) | 2022.12.22 |
로마서 12장 선택 받은 성도들의 합당한 삶 (0) | 2022.12.22 |
로마서 11장 : 이스라엘의 미래 : 이방인이 충분한 수 만큼 구원을 받으면 이후 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구원을 받게된다. (0) | 2022.12.19 |
댓글